식약처에서 위해하다고 발표한 유전 독성 성분이 들어간 염색 샴푸는?
2022.09.24 - [INFO] - 식약처에서 위해하다고 발표한 유전 독성 성분이 들어간 염색약은?
2022.09.23 - [INFO] - 사용하면 안 되는 유해한 염색약/염색샴푸, 여기 포함된 유전 독성 성분은?
식약처에서 발표한
암/알츠하이머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유전 독성 성분과
그 성분이 포함된 염색약 관련해 포스팅을 했었다.
오늘은 마지막으로 요즘 핫한 염색 샴푸에도
문제의 그 성분이 포함됐는가 찾아보려 한다.
찾아본 브랜드는 총 6가지!
모다모다
려
리엔
일동제약
모나케어
튠나인
1. 모다모다
모다모다로부터 시작된 이 논란.
당연히 포함돼 있다.
1,2,4-트리하이드록시벤젠(THB)
모다모다에서 판매 중인 3가지 샴푸 중
블랙샴푸, 다크닝 샴푸 2종에 포함돼 있다.
블론드 샴푸에는 없다.
2. 일동제약 탈모랩 프로바이오틱스 피그먼트 샴푸
1,2,4-트리하이드록시벤젠(THB)이 포함돼 있다.
표기에 '1,2,4-트라이하이드록시벤젠'이라 돼 있으나
찾아보니 표기법을 다르게 했을 뿐 같은 성분인 듯하다.
3. 튠나인 내추럴 체인지 블랙샴푸
튠나인 내추럴 체인지 블랙샴푸 제1제에
o-아미노페놀이 포함돼 있다.
o-아미노페놀은 식약처 1차 조사에서
독성 성분으로 지정된 성분이다.
4. ECT
리앤 물들임 새치커버 샴푸
모나케어 블랙샴푸
려 더블이펙터 탈모증산완화 블랙 샴푸
위 세 가지에는 문제되는 성분이 없다.
처음에 '모다모다'에서 염색샴푸를 출시하면서
식약처에서 '이 제품 안 된다'며 퇴출시키려 할 때
이 샴푸 '문제있다' '이 정도는 괜찮다'로 논쟁이 붙었었다.
그때 나름 관심있게 지켜봤었는데
결국 퇴출 절차를 밟게 될 걸로 보인다.
그래, 위험성 있는 제품을 만들었을 때
미국만큼 강하게 처벌하지 못하는 우리나라.
처음부터 유럽처럼 강하게 규제하는 게 맞지 싶다.
그래야 '가습기 살균제' 사건처럼 안 되지.